경제 관련글

집 살 때부터 팔 때까지, 꼭 알아야 할 2025년 부동산 세금 총정리

언젠간 볕들날 2025. 3. 23. 13:00
반응형



안녕하세요!
오늘은 부동산 세금에 대해 정말 쉽게,
2025년 최신 정보 기준으로 하나하나 설명드릴게요.

처음 집을 사시는 분들도, 이미 집을 갖고 계신 분들도,
“세금 때문에 고민 많다…” 하셨던 분들은 꼭 끝까지 봐주세요!



1.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(2025년 기준) 🏠

어떤 세금이 있나요?

집을 살 때는 3가지 세금이 함께 붙어요:
1. 취득세: 집을 살 때 꼭 내야 하는 대표 세금이에요.
2. 지방교육세: 취득세의 10%가 자동으로 계산돼요.
3. 농어촌특별세: 고가 주택 또는 다주택자일 경우에만 해당돼요.

실제로 어느 정도 내야 할까요?

구분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총 세금율
1주택자 (1억 이하) 1.0% 0.1% 없음 1.1%
1주택자 (1억~3억 이하) 1.0~2.0% 취득세의 10% 없음 1.1~2.2%
1주택자 (3억 초과) 3.0% 0.3% 없음 3.3%
조정지역 2주택자 8.0% 0.8% 1.6% 10.4%
조정지역 3주택자 이상 12.0% 1.2% 2.4% 15.6%

사례로 쉽게 볼게요!

예시 ①
2025년에 2억 원짜리 아파트를 처음 사는 1주택자라면?
→ 취득세는 약 1.4%, 지방교육세는 약 0.14%
→ 총 약 2.8백만 원 정도의 세금을 내게 돼요.

예시 ②
이미 집이 하나 있는 상태에서 조정지역 내 3억짜리 집을 추가 구입하면?
→ 취득세 8%, 지방교육세 0.8%, 농특세 1.6% → 총 10.4%,
→ 무려 3,120만 원의 세금이 발생해요.

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혜택 (2025년 기준) ✨

2025년에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게는 세금 감면이 있어요!
조건만 충족하면 취득세를 1%로 고정!
• 소득요건: 맞벌이 1억 4천만 원 이하, 외벌이 7천만 원 이하
• 주택가액: 수도권 4억 이하, 비수도권 3억 이하
• 전용면적: 60㎡ 이하
• 만 19세 이상~만 34세 이하 청년, 신혼부부, 무주택자 등

Tip! 감면을 받으려면 잔금일 전에 감면 신청서 제출 꼭 필요해요!

2. 집을 가지고 있을 때 내는 세금 🧾

집을 보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매년 세금이 나가요.
바로 재산세와 **종합부동산세(종부세)**예요.

① 재산세 (매년 7월, 9월에 납부)
• 공시가격 기준으로 과세돼요.
•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, 보통은 0.1%~0.25% 수준이에요.

공시가격 구간 세율
6천만 원 이하 0.1%
6천만~1억5천만 원 0.15%
1억5천만 원 초과 0.25%

예시
공시가격 2억 원짜리 아파트의 재산세는?
→ 약 36만 원 정도 (지방교육세 포함)

② 종합부동산세 (12월 납부, 공시가격 기준)

2025년 기준 종부세는 아래처럼 과세돼요:

구분 종부세 과세 기준 (합산 공시가격)
1주택자 12억 원 초과
다주택자 6억 원 초과

• 고령자/장기보유자에겐 세액공제 혜택 있어요.
• 세율은 0.5%~2.7%로 과세표준 구간마다 달라져요.

Tip! 공시가격은 실거래가보다 낮게 책정되니
실제 집값이 15억 정도는 돼야 종부세 대상일 확률이 높아요.

3. 집을 팔 때 내는 세금 💰

집을 팔아서 **차익(양도차익)**이 생기면 양도소득세를 내요.
보유 기간, 실거주 여부, 판매가격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죠.

양도소득세 세율 (2025년 기준)

보유기간 세율 특징
1년 미만 70% 단기 매매 중과
2년 미만 60% 중과 대상
2년 이상 6~45% 과표에 따라 누진 적용

지방소득세는 양도세의 10% 별도 부과돼요.

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
• 2년 이상 보유
• 2년 이상 실거주
• 양도가액 12억 원 이하 (2025년 기준 유지)

예시
5년 실거주한 아파트를 10억 원에 팔았다면?
→ 조건 충족으로 양도세 0원!

4. 절세 꿀팁 요약 ✔️

상황 절세 전략
처음 집 사는 청년/신혼부부 생애최초 혜택 + 감면 신청 잊지 않기
1주택자 실거주 2년 이상 유지 → 양도세 비과세 가능
장기 보유자 3년 이상 보유 시 양도차익 공제 (최대 80%)
다주택자 명의 분산, 증여 후 양도 등 전략 검토 필요
양도 전 실제 매도 시점과 보유/거주 기간 체크는 필수!

마무리하며

2025년 현재 부동산 세금 체계는
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
핵심만 잘 알고 계시면
내 상황에 맞는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해요.

특히 취득할 때와 양도할 때의 조건에 따라
수천만 원의 세금 차이가 날 수도 있으니
계획을 세우실 땐 꼭 한번 체크해보시길 추천드려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