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!
부지런하게 살기 위해
노력하는 볕들날이에요☀️
오늘은 2025년부터 새롭게
변경되는 복지정책 39가지를
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어요.
정부에서 발표한 정책들은
저소득층, 노인, 장애인,
아동, 청년, 근로자,
한부모 가정 지원 등
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어요.
그중에서도 우리 생활에
특히 유용할 것 같은 정책을
몇 가지 뽑아 정리했으니
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1. 저소득층 지원
(1) 생계급여 확대
✔️ 4인 가구 기준
✔️ 183.4만 원 → 195.2만 원
✔️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📌 신청: 주민센터 방문
(2) 의료급여 개편
✔️ 본인 부담금 정률제
✔️ 건강생활 유지비 인상
✔️ 월 6,000원 → 12,000원
📌 신청: 건강보험공단
(3) 자활 성공 지원금
✔️ 자활근로 후 취업 시
✔️ 6개월 근속 - 50만 원
✔️ 추가 6개월 - 100만 원
✔️ 최대 150만 원 지급
📌 신청: 근로복지센터
2. 문화 및 교육 지원
(4) 문화누리카드 확대
✔️ 저소득층 문화 지원
✔️ 13만 원 → 14만 원
📌 신청: 주민센터, 홈페이지
(5) 시니어 평생교육 바우처
✔️ 65세 이상 교육비 지원
✔️ 연 35만 원 지원
📌 신청: 평생교육진흥원
3. 생활 및 식품 지원
(6) 농식품 바우처 확대
✔️ 전국 확대 시행
✔️ 4인 가구 월 10만 원
📌 신청: 주민센터 방문
(7) 에너지 바우처
✔️ 여름·겨울 에너지 지원
✔️ 지원 금액 인상
📌 신청: 에너지바우처 홈페이지
4. 노인 및 장애인 지원
(8) 노인 일자리 확대
✔️ 2027년까지 120만 개
📌 신청: 노인복지센터
(9) 기초연금 인상
✔️ 최대 34만 3,510원
📌 신청: 국민연금공단
(10) 장애인연금 인상
✔️ 최대 34만 3,510원
📌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
5. 가구 및 아동 지원
(11) 한부모 가정 지원 확대
✔️ 양육비 인상
✔️ 21만 원 → 23만 원
✔️ 청소년 부모 35만 원 → 37만 원
📌 신청: 주민센터 방문
(12)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
✔️ 양육비 미지급 해결
✔️ 국가가 먼저 지급 후 징수
✔️ 월 20만 원 지원
📌 신청: 여성가족부 홈페이지
6. 금융 및 채무 지원
(13) 소액 장기 연체 채무 감면
✔️ 500만 원 이하 소액 채무
✔️ 기초수급자·중증장애인
✔️ 원금 전액 감면
📌 신청: 신용회복위원회
(14)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 확대
✔️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
✔️ 3,800만 원 → 4,400만 원
📌 신청: 국세청 홈택스
7. 긴급 지원
(15) 긴급 생계비 지원 인상
✔️ 1인 가구 73만 원
✔️ 4인 가구 187만 원
📌 신청: 주민센터 방문
8. 아동 자산 형성 지원
(16) 디딤씨앗통장 확대
✔️ 차상위·한부모 가정 추가
📌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
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!
오늘 소개해 드린 내용은
변경되거나 신설된 정책을
매우 짧게 요약한 것이에요.
지원 대상, 신청 기간,
필요 서류 등이 다를 수 있어요.
신청 전에 꼼꼼히 확인하고
해당 기관의 공식 정보를
반드시 확인 후 신청하세요!
놓치면 아쉬운 혜택들,
꼭 챙기시길 바랄게요!
앞으로도 유용한 복지 정보를
쉽게 전달해 드릴게요 :)
'정책 및 제도 관련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🇰🇷 한국 vs 해외! 노인 연령 몇 살부터일까? (2) | 2025.03.10 |
---|---|
“빈집도 주인을 원한다! 농촌빈집은행 OPEN!” (1) | 2025.03.09 |
공짜로 뮤지컬·연극 볼 수 있다고?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법 총정리! (3) | 2025.03.05 |
2025년 교육급여 신청 시작! 우리 아이 지원금, 지금 바로 받으세요! (0) | 2025.03.04 |
“이거 놓치면 후회합니다! 2025년 국가장학금·근로장학금·주거안정장학금 A to Z” (1) | 2025.03.03 |